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Study

[주식 Study] 주식 주문 방법 (Feat. 지정가 & 시장가 & 조건부 지정가)

 

 

[주식 Study] 주식 주문 방법 (Feat. 지정가 & 시장가 & 조건부 지정가)

 

안녕하세요. 만능~킴입니다!

 

오늘은 주식 매수 방법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여러분들에게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여기서 잠깐, 모두 아시겠지만 주식을 사는 행위를 매수 주식을 파는 행위를 매도라고 합니다.)

 

주식을 어떻게 사고 파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 천천히 한번 읽어보시고 원하시는 주식을 매수해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들이 원하는 주식을 매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먼저!! PC의 주식 프로그램이나 휴대폰의 주식 애플리케이션이 있어야겠지요!! (저는 NH투자증권의 나무라는 어플을 통해서 주식을 하고 있습니다. 다들 원하시는 증권사를 통해 주식 계좌를 개설하셔야 주식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

 

자 그럼! 먼저 MTSHTS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MTS (Mobile Trading System) : 휴대전화 앱을 통하여 주식 거래를 할 수 있는 시스템.

 

* HTS (Home Trading System) : 집이나 사무실 등의 개인 PC를 통해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

 

전업 투자자의 경우 HTS를 많이 사용하지만 일반 투자자의 경우 MTS를 주로 사용합니다. (저 또한 MTS를 통해서 주식을 매매하고 있습니다!)

 

 

 

 

MTS & HTS를 사용하여 주식을 주문하는 방법 중 일반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정가 주문, 시장가 주문, 조건부 지정가 주문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름이 낯설어 어려워 보이지만 하나도 어렵지 않아요!!)

 

* 지정가 (보통가) 주문 : 투자자가 가격을 지정해서 주문하는 방법으로 지정한 조건과 다를 경우 체결되지 않는 주문 방식.

 

예를 들어 현재 가격이 60,000원인 삼성전자 주식이 있습니다. A는 삼성전자 주식을 사기 위해 59,500원에 100주 매수 주문을 합니다. 하지만 종가 59,600원에서 장이 마감되었습니다. A가 주문한 삼성전자 주식은 매수되었을까요? 

 

정답은 아니요!!입니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A가 지정한 59,500원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기 주문으로 있다가 장 종료와 함께 자동 취소되어 체결되지 않습니다.! (주문자가 지정한 가격에 매매되는 지정가 주문 이해 가시죠?)

 

- 지정가 주문의 장점 : 주문자가 원하는 수량과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다. (현재 가격보다 더 싸게 사거나 비싸게 팔 수 있다.)

- 지정가 주문의 단점 : 주문한 가격이 되지 않으면 사거나 팔 수 없다.

 

만약! 매수 주문한 가격보다 현재가가 낮거나, 매도 주문한 가격보다 현재가가 높을 경우에는 아래 표와 같이 현재가로 체결되는 점 참고 바랍니다. 

 

  현재가 체결가
61,000에 매수 주문한 경우 60,000원 60,000원
59,000에 매도 주문한 경우 60,000원 60,000원

 

* 시장가 주문 : 투자자가 가격을 정하지 않고 수량만 지정하여 주문을 하면 주문이 접수된 시점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되는 주문 방식.

 

예를 들어 삼성전자우 주식 100주를 시장가 주문으로 매수하게 되면 얼마에 체결이 될까요? (아래 사진을 보시고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정답은 47,150원입니다.!! 시장가 주문 시 바로 거래 가능한 가장 유리한 가격 (저렴한 가격)에 매수되기 때문에 현재 가장 낮은 매도 호가인 47,150원에 체결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잠깐! 만약 제가 삼성전자우 주식 5,000주를 주문하게 되면 어떻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현재 매수 가능한 47,150원에 2,147주 그리고 47,200원에 2,853주 총 5000주를 매수하게 됩니다. (지정가 주문과의 차이점 아시겠죠?)

 

<시장가 주문 특징>

- 주식 매매 시 현재가의 물량이 부족하게 된다면 주가를 높여서 매수하게 된다.

- 반드시 주식을 매매해야 할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주로 주가 변화가 큰 급등주를 매매할 때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 조건부 지정가 주문 : 지정한 가격으로 주문이 접수되지만 정규 시장 종료 시까지 주문이 체결되지 않으면 그날의 종가로 주문이 체결되는 방식.

 

예를 들어 제가 "카카오" 주식을 400,000원에 1000주를 조건부 지정가로 주문했습니다. 카카오 주식의 현재가는 410,000원인데 계속해서 하락하다가 405,000원의 종가로 장이 마감되었습니다.

 

주문한 카카오 주식은 매수되었을 까요? 매수되었다면 얼마에 매수되었을 까요?

 

정답은!! 405,000원에 카카오 주식을 1000주 매수입니다.

 

지정한 가격(400,000원)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날의 종가인 405,000원에 주문이 체결된 것입니다.

 

* 지정가 주문과는 달리 지정된 가격이 되지 않을 경우 그날의 종가로 체결되는 점 참고하셔서 조건부 지정가 주문을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지정가 주문, 시장가 주문, 조건부 지정가 주문에 대한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